-
목차
“국민연금 보험료가 앞으로 오른다는데, 도대체 얼마나 오르지?”
“지금보다 더 낼 거면, 나중에 더 받을 수 있는 걸까?”요즘 국민연금 개편에 대해 뉴스에서 많이 다루고 있지만,
막상 내가 내야 할 금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는
정확하게 감이 안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그래서 오늘은
✔️ 2025년부터 어떻게 바뀌는지,
✔️ 매년 얼마나 오르는지,
✔️ 연금 수령액도 함께 오르는지,
정확하고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보험료 인상표까지 함께 보면서 계산해보세요.>>>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궁금하다면 >>>
1. 왜 보험료가 인상되는 걸까?
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**소득의 9%**입니다.
이 비율은 무려 27년간 한 번도 바뀌지 않았어요.
하지만 고령화는 갈수록 심해지고, 출산율은 세계 최저입니다.📉 이런 구조로는 지금처럼 보험료를 걷어서는
📅 2055년경에 국민연금 기금이 모두 소진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국민연금이 진짜 사라진다는 건 아니지만,
이대로 가다간 다음 세대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부담을 안게 될 수 있죠.그래서 정부는
점진적으로 보험료율을 인상하고,
노후 연금 수령액도 조금씩 올리는 방향으로 개편안을 추진한 겁니다.>>>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바로가기 >>>
2. 2025년 이후 보험료율, 얼마나 오르나?
2025년은 아직 기존과 같은 9%로 유지되지만,
2026년부터 매년 0.5%p씩 인상되어
2033년에는 최종 13%에 도달하게 됩니다.📌 아래 표로 쉽게 정리해볼게요.
연도 보험료율 월 납부 보험료 (소득 309만 원 기준)2025 9.0% 278,100원 2026 9.5% 293,550원 2027 10.0% 309,000원 2028 10.5% 324,450원 2029 11.0% 339,900원 2030 11.5% 355,350원 2031 12.0% 370,800원 2032 12.5% 386,250원 2033 13.0% 401,700원 💡 직장 가입자는 회사와 반반 부담하기 때문에,
실제 본인이 내는 금액은 위 금액의 절반 수준입니다.3. 보험료만 오르고 끝? 연금 수령액도 오릅니다!
보험료는 점점 오르는데 연금액이 그대로라면 손해처럼 느껴지겠죠.
하지만 이번 개편안에는 **수급 시 받게 되는 연금액(소득대체율)**도 상향됩니다.- 기존 소득대체율: 40%
- 2026년부터: 43%로 인상
📌 소득대체율이란?
은퇴 전 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비율.
예) 월 소득 300만 원 × 43% = 월 연금 약 129만 원 예상즉, 더 내지만, 더 받는 구조로 바뀌는 셈입니다.
4. 2025년 7월부터는 기준소득월액도 바뀐다
보험료 계산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의 상한·하한선도 인상됩니다.
- 상한: 617만 원 → 637만 원
- 하한: 39만 원 → 40만 원
📌 무슨 뜻이냐면…
- 월 소득이 637만 원 이상이면, 보험료가 월 18,000원 정도 인상
- 소득이 40만 원 미만이면, 최대 900원 정도 인상
이 조정은 2025년 7월부터 2026년 6월까지 1년간 적용됩니다.
5. 이미 연금 받고 있는 사람도 혜택 있다? 연금액 2.3% 인상!
현재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수급자 약 692만 명도 변화가 있습니다.
2025년 1월부터는
2024년 물가 상승률(2.3%)을 반영해 연금액이 인상됩니다.예를 들어,
- 월 100만 원 수령하던 분 → 1,023,000원으로 인상
- 부양가족연금도 2.3% 인상 적용
이건 사실상 연금 생활자에게 물가 보전 효과를 주는 방식입니다.
6. 기금 고갈되면 연금 못 받는 거 아니야?
많은 분들이 걱정하시죠.
하지만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된다고 해서 연금 자체가 사라지는 건 아닙니다.기금이 사라져도 이후엔
가입자들이 낸 보험료로 바로 연금을 지급하는 부과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어요.- 국민연금 제도 자체는 유지됨
- 단지 지급 재원이 바뀌는 것
🔎 실제로 독일, 일본 등 다른 나라들도 이 방식을 사용 중입니다.
7. 내게 미치는 영향은?
✅ 20~40대 직장인이라면:
→ 내는 보험료가 매년 조금씩 증가
→ 은퇴 후 연금 수령액은 더 많아짐✅ 자영업자나 지역가입자라면:
→ 기준소득월액 인상에 따라 보험료 소폭 상승
→ 하지만 수급액 증가로 손해보지 않음✅ 현재 연금 수급자라면:
→ 2025년부터 연금액 자동 인상 혜택8. 2025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핵심 요약
구분주요 변경 내용보험료율 인상 2026년~2033년까지 매년 0.5%p 증가, 최종 13% 소득대체율 인상 2026년부터 43%로 상향 기준소득월액 변경 상한 637만 원 / 하한 40만 원 적용 (’25.7월~) 연금 수급액 인상 2025년부터 2.3% 자동 인상 반영 국민연금 완벽 가이드 ✅ 수령 나이·예상 수령액·혜택 총정리!
국민연금 완벽 가이드 ✅ 수령 나이·예상 수령액·혜택 총정리!
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. 수령 나이가 왜 늦어지고 있는지, 예상 수령액을 어떻게 확인하는지, 장애연금·유족연금은 어떤 경우 받을 수
nobless-nomad.com
'정부지원금.복지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집을 연금으로? 주택연금 가입 방법, 조건 & 월 지급액 계산법 (0) 2025.04.01 중증 질환 환자를 위한 정부 지원금과 복지 혜택 총정리 (2025년 최신판) (0) 2025.03.31 치아보험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팁 (임플란트·크라운·충치치료 대비) (0) 2025.03.29 암 치료 후 재활과 회복을 위한 건강보험 지원제도 총정리 (0) 2025.03.28 희귀질환·만성질환 환자를 위한 건강보험 혜택 안내서 (0) 2025.03.24 중증 질환 환자가 꼭 알아야 할 건강보험 지원제도 (0) 2025.03.23 암 환자를 위한 국가 지원금과 복지 혜택 총정리 (0) 2025.03.21 무료 강의 듣고 월급 인상까지! 국민내일배움카드 200% 활용법 (0) 2025.03.16